🏥
작년 한 해 병원비로 얼마나 지출하셨나요?
혹시 100만원 넘게 나갔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추천해요.
제 지인 한 분은 부모님 암 치료로 작년에 병원비만 500만원 넘게 썼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최근에 국가에서 300만원 넘게 돌려받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정말 깜짝 놀랐거든요.

바로 본인부담상한제 초과 의료비 환급 덕분이에요.
2025년 8월 말~9월 초 경부터 2024년도 진료분에 대한 환급 신청이 시작될 예정인데,
1인 평균 136만원, 총 2조 8천억원 규모의 환급이 진행됩니다.
1️⃣ 본인부담상한제, 도대체 뭔가요?
어려운 정책 용어 말고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본인부담상한제는 '의료비 캐시백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소득 수준에 따라 1년 동안 병원비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서,
그 금액을 넘어서 지출하면 초과분을 국가에서 돌려주는 제도예요.
예를 들어 소득 하위 10%(1분위)에 해당하신다면
연간 의료비가 89만원을 넘으면 초과분은 모두 환급받을 수 있어요.
만약 200만원을 썼다면 111만원을 돌려받는 거죠!
이 제도가 있어서 큰 병에 걸려도 가계 파산 걱정 없이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거예요.
2️⃣ 2024년 기준 나는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
소득분위별 본인부담상한액을 확인해보세요!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대략적인 소득분위를 짐작할 수 있어요.
소득분위 | 월 건강보험료 기준 | 연간 상한액 | 예상 환급금 |
1분위 (하위 10%) |
월 7만원 이하 | 89만원 | 200만원 지출 시 111만원 환급 |
2-3분위 | 월 7-15만원 | 110만원 | 300만원 지출 시 190만원 환급 |
4-5분위 | 월 15-25만원 | 170만원 | 400만원 지출 시 230만원 환급 |
6-7분위 | 월 25-40만원 | 320만원 | 600만원 지출 시 280만원 환급 |
8분위 | 월 40-50만원 | 437만원 | 800만원 지출 시 363만원 환급 |
9-10분위 (상위 20%) |
월 50만원 이상 | 525-826만원 | 고액 의료비 시 상당한 환급 가능 |
💡 팁: 정확한 소득분위는 건강보험공단에서 확인 가능하지만,
월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대략적인 추정이 가능해요.
직장가입자는 본인 부담분, 지역가입자는 세대 전체 보험료를 기준으로 해요.
3️⃣ 내가 대상자인지 1분만에 확인하는 방법
확인 방법은 정말 간단해요!
스마트폰 하나면 1분 안에 확인 가능합니다.
📱 The건강보험 앱 이용 방법:
✅ 1단계: 앱스토어에서 'The건강보험' 검색 후 다운로드
✅ 2단계: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 3단계: 메인화면에서 '민원여기요' 선택
✅ 4단계: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 클릭
✅ 5단계: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조회 결과 확인
💻 PC에서 확인하는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민원신청 → 환급금 조회/신청
⚠️ 주의사항: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필요해요.
없으시다면 간편인증 서비스를 이용하시거나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셔도 됩니다.
4️⃣ 신청 방법 4가지 총정리
환급 대상자 확인이 끝났다면 이제 신청만 하면 돼요!
방법은 4가지가 있으니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 가장 추천하는 방법: 온라인 신청
The건강보험 앱 또는 홈페이지
⏰ 소요시간: 3-5분
📋 준비물: 공동인증서, 입금받을 계좌번호
👍 장점: 24시간 언제든, 집에서 간편하게
🥈 전화 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
⏰ 소요시간: 10-15분
📋 준비물: 본인 확인 정보, 계좌번호
👍 장점: 궁금한 점을 바로 질문 가능
🥉 방문 신청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 소요시간: 30분-1시간
📋 준비물: 신분증, 도장, 계좌번호
👍 장점: 대리 신청 가능, 확실한 처리
4️⃣ 우편/팩스 신청
신청서 작성 후 우편 또는 팩스 발송
⏰ 소요시간: 신청서 작성 10분 + 발송
📋 준비물: 신청서, 계좌 사본
👍 장점: 집에서 편리하게 처리
💰 환급금 지급 시기: 신청 완료 후 약 7-10일 내에 입금
(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로만 입금 가능)
5️⃣ 부모님 대신 신청하고 싶다면?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거동 불편하신 분들을 대신해서
자녀나 가족이 신청할 수 있을까요?
원칙적으로는 본인 계좌로만 신청 가능하지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대리 신청이 가능해요.
🏥 대리 신청 가능한 경우:
- 치매, 의식불명 등 질병으로 직접 신청이 어려운 경우
- 거동 불편으로 본인이 직접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
📋 대리 신청 시 필요 서류:
✅ 진단서 또는 의사 소견서
✅ 가족관계증명서
✅ 위임장 (본인 도장 날인)
✅ 대리인 신분증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해서
상담 후 신청하셔야 해요.
6️⃣ 실손보험 가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많은 분들이 놓치는 중요한 부분이에요!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반드시 알아두세요.
⚠️ 핵심 원칙: 이중 보상은 불가능해요
본인부담상한제로 환급받은 의료비는
실손보험에서 중복으로 보상받을 수 없어요.
🔍 구체적인 예시:
병원비 500만원을 지출했는데
- 본인부담상한제로 200만원 환급받음
- 실제 본인 부담액은 300만원
- 실손보험은 300만원에 대해서만 보상
📞 보험사 신고는 의무일까요?
법적으로 의무는 아니지만 신고하시는 것이 좋아요.
나중에 보험금 심사 과정에서 확인되면
기지급 보험금을 환수당할 수 있거든요.
💡 2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아예 약관에서 본인부담상한제 환급분은
보상에서 제외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요.
🏆 결론: 실손보험과 본인부담상한제는 중복 보상이 안 되니
환급받은 후에는 보험사에 알려주시는 것이 안전해요.
7️⃣ 자주 묻는 질문 TOP 5
Q1. 비급여 진료비도 환급 대상인가요?
❌ 아니에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의 본인부담금만 해당돼요.
MRI, 초음파, 상급병실료, 임플란트 등은 제외예요.
Q2. 작년에 신청 안 했는데 올해도 신청할 수 있나요?
⏰ 5년간 신청 가능해요. 2019년분부터 2024년분까지 모두 확인해보세요.
Q3. 가족의 의료비를 합쳐서 신청할 수 있나요?
❌ 개인별로 계산돼요. 부부나 가족이라도 따로 신청해야 해요.
Q4. 환급받으면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에서 빼야 하나요?
✅ 네, 환급받은 금액은 의료비 공제에서 차감해야 해요.
Q5. 건강보험료를 체납했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
⚠️ 체납 기간 중 발생한 의료비는 환급 대상에서 제외돼요.
지금까지 본인부담상한제 초과 의료비 환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작년에 병원비를 많이 쓰셨다면
지금 당장 The건강보험 앱을 다운로드해서
환급 대상인지 확인해보세요.
평균 136만원, 많게는 수백만원까지
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기회예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도움드리겠습니다! 😊